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퀀트투자란 무엇인가? 데이터로 움직이는 주식 전략

by 귀한하루 2025. 4. 19.
반응형

📌 퀀트투자, 감정이 아닌 데이터로 투자하라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뉴스나 시장 분위기에 휩쓸려 충동적으로 매매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퀀트투자(Quantitative Investing)는 이런 감정적 판단을 배제하고, 수학적 공식과 통계적 모델을 활용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전략입니다.

💡 퀀트투자의 기본 개념

'퀀트(Quant)'는 '정량적'이라는 뜻으로, 퀀트투자는 과거의 주가, 재무제표, 성장률, 배당률 등 객관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알고리즘을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조건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습니다:

  • PBR 1 이하 + ROE 10% 이상인 종목만 매수
  • 최근 3년 연속 흑자 기록 종목만 필터링
  • 한 달에 한 번 자동 리밸런싱

이처럼 모든 조건을 사전에 수치화하고 규칙화함으로써, 사람이 개입하지 않고도 일관된 투자 전략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퀀트투자의 장점과 단점

장점

  • 감정 배제: 시장의 공포나 탐욕에 휘둘리지 않음
  • 일관된 전략 유지 가능
  • 백테스트를 통한 과거 성과 검증 가능

단점

  •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전략이 무력화될 수 있음
  • 복잡한 알고리즘은 초보자에게 진입 장벽이 될 수 있음
  • 데이터 품질에 따라 결과가 왜곡될 수 있음

📈 퀀트전략의 대표 예시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간단한 전략 하나를 소개합니다:

  1. KOSPI 종목 중 PER 10 이하 필터링
  2. 그 중 ROE가 10% 이상인 종목만 선별
  3. 최근 1년간 주가가 상승한 종목 우선 선택
  4. 상위 5~10개 종목에 균등 분산 투자

이 전략은 가치 + 모멘텀 요소를 결합한 간단한 퀀트 모델이며, 백테스트를 통해 성과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 퀀트투자를 위한 도구들

  • 네이버 금융, 인베스팅닷컴: 기본 재무정보 조회
  • 퀀트킹, 시스테마틱스: 전략 설계 및 백테스트
  • 파이썬/엑셀: 수식 기반 필터링 및 자동화 가능

복잡한 프로그래밍이 어렵다면, 간단한 엑셀 필터 기능만으로도 퀀트의 기초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퀀트는 '규칙 기반 투자'

퀀트투자는 '내가 왜 이 종목을 샀는지'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초보 투자자일수록 감정보다 규칙에 기반한 투자 습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가치투자와 퀀트투자를 조합하는 전략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