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책 핵심 내용
2025년 4월 24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는 ‘에너지고속도로’ 구축을 골자로 한 기후에너지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2030년까지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를 건설하고, 2040년까지 ‘U’자형 한반도 에너지고속도로를 완공한다는 계획을 담고 있습니다. 남서해안 해상풍력(20GW)을 해상 전력망으로 주요 산업지대에 송전하고, 전국적으로 RE100(재생에너지 100%) 산업단지를 확대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석탄과 LNG 비중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비율을 신속히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OECD 38개국 중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최하위 수준임을 지적하며, 재생에너지와 탄소중립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비전을 밝혔습니다. 원자력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으나, 사회적 합의를 통한 점진적 감축 방향임이 간접적으로 드러났습니다.
정책 도입 시 기대 효과
- 재생에너지 인프라 확대 및 산업 생태계 성장
- 지역경제 활성화 및 균형 발전
- RE100 산단 확대에 따른 글로벌 기업 유치 및 수출 경쟁력 강화
-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목표 실현 가속화
- 전력망, ESS(에너지저장장치) 등 연관 산업 동반 성장
투자자 대응 전략
- 재생에너지 관련주 선별: 풍력, 태양광, 해상풍력, 신재생에너지 EPC(설계·조달·시공) 기업, 전력망 및 송배전 기업, ESS 기업에 주목하십시오.
- RE100 및 탄소중립 수혜주: 글로벌 RE100 트렌드에 맞춰 친환경 에너지 사용 비중이 높은 기업, RE100 산단 입주 기업에 관심을 두십시오.
- 지역 경제 연계주: 전남·전북 등 정책 수혜 지역에 사업 기반을 둔 에너지·인프라 기업에 주목하십시오.
- 정부 정책 수혜주: 정책 발표와 동시에 정부 지원 및 규제 완화 가능성이 높은 산업군(전력망, 에너지저장장치, 신재생 기자재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십시오.
주목할 만한 종목 예시
- 풍력: 씨에스윈드, 유니슨, 두산에너빌리티
- 태양광: 한화솔루션, 신성이엔지, SDN
- 전력망/ESS: LS ELECTRIC, 효성중공업, 코엔텍, 서진시스템
- 재생에너지 EPC 및 기자재: 삼강엠앤티, 동국S&C, 현대에너지솔루션
- 정책 수혜 지역 기반: 전남·전북 소재 에너지 및 인프라 기업
결론 및 전망
이재명 후보의 기후에너지 정책은 재생에너지와 전력망 인프라 확대, 지역균형발전, 탄소중립 산업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정책 실현 시 관련 산업 전반에 강한 성장 모멘텀이 기대되며, 투자자들은 재생에너지, 전력망, ESS, RE100 등 연관 산업군과 정책 수혜 지역 기업에 선제적으로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